티스토리 뷰
목차
택배를 받을 때마다 쌓이는 아이스팩, 그냥 버리자니 아깝고, 모아두자니 쓸 데가 없어 고민이 되는 품목입니다. 겉보기엔 비닐처럼 보여 재활용할 수 있을 것 같지만, 내부 성분과 재질에 따라 배출법이 완전히 다릅니다.
이번 글에서는 **아이스팩의 종류별 배출 방법과 재활용 여부**를 안내합니다.
아이스팩, 재질에 따라 분리 기준이 다르다
아이스팩은 겉포장은 대부분 PE 비닐류지만, 내부는 젤타입(고흡수성 폴리머) 또는 물타입으로 나뉩니다.
✔ 젤타입 → 젤은 하수도 폐기 불가 (배관 막힘 위험) ✔ 물타입 → 물은 하수도 배출 가능 (단, 포장 분리)
💡 따라서 **내용물을 확인하고, 포장과 내용물을 분리한 후 각각 따로 처리**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젤타입 아이스팩 배출 방법
젤타입은 대부분 **흡수성 수지(고분자 화합물)**로 이루어져 하수도에 흘려보낼 수 없고, 일반 쓰레기로 처리해야 합니다.
① 가위로 포장을 자르고 ② 젤을 **신문지나 키친타월에 흡수시킨 후 종량제 봉투** ③ 비닐 외피는 **깨끗이 씻어 비닐류로 분리배출 가능**
📌 젤 성분은 토양이나 수질 오염 유발 가능성이 있어
절대 싱크대에 버리면 안 됩니다.
물타입 아이스팩 배출 방법
물타입 아이스팩은 상대적으로 간단합니다.
① 포장 개봉 후 물은 하수구에 버림 ② 겉 비닐은 헹구어 비닐류 분리배출
✔ 단, **포장재에 젤 성분이 남아 있을 경우 일반쓰레기로 처리**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✔ 반드시 내용물을 비운 후 분리배출할 것!
아이스팩 재사용 vs 수거
✔ 상태가 좋은 아이스팩은 재사용 가능 (피크닉, 보냉백 등)
✔ 일부 지자체나 대형마트, 수산시장에서는 **아이스팩 수거함 운영 중** → SNS 또는 구청 홈페이지에서 수거 장소 확인 가능
💡 10개 이상 모으면 기저귀팩, 냉장보관용품으로 기부하는 경우도 있음
맺음말: 아이스팩은 '내용물 먼저, 분리배출은 그다음'
아이스팩은 재활용이 가능할 것처럼 보이지만, 내용물의 성분과 사용 상태에 따라 처리 방법이 매우 달라집니다.
젤 타입은 하수도 NO, 물 타입은 구분해서 YES. 그리고 어떤 경우든 겉 비닐은 깨끗하게 세척 후 분리배출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
오늘 받은 택배 아이스팩, 정확히 알고 환경에 맞게 처리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