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겉보기엔 모두 종이처럼 보여도 종이컵, 우유팩, 일반 종이는 각각의 재활용 기준이 다릅니다. 제대로 분류하지 않으면 오히려 전체 재활용 품목을 오염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죠.
이번 글에서는 **종이 계열 쓰레기의 정확한 분류 기준과 배출 방법**을 안내드립니다.
종이컵은 종이인데 왜 재활용이 안 될까?
종이컵은 표면에 **방수 처리를 위한 폴리에틸렌(PE) 코팅**이 되어 있어 단일 재질이 아닌 복합재질로 분류됩니다.
재활용 자체는 가능하지만, **내용물이 남아 있거나 세척이 안 된 상태**로 배출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종이컵을 재활용이 아닌 일반쓰레기 처리를 권장합니다.
✔ 깨끗이 헹군 종이컵이라면 → ‘종이류’로 분리 가능 ✔ 커피찌꺼기, 얼룩이 있는 컵이라면 → 종량제 봉투
종이팩(우유팩, 주스팩)은 종이와 다르다
우유팩, 주스팩은 일반 종이와 달리 **종이 안쪽에 알루미늄 또는 비닐 코팅이 되어 있는 특수 종이**입니다.
따라서 일반 종이류와 섞으면 재활용에 방해가 되므로 종이팩 전용 수거함에 따로 배출해야 합니다.
✔ 깨끗이 헹군 후 말려서 배출 ✔ 일부 지자체에서는 종이팩을 모아 화장지로 교환해주는 ‘종이팩 교환제’ 운영
일반 종이류는 어떻게 분리할까?
복사지, 신문지, 공책, 택배 박스 등은 재질이 단순하고 이물질이 없을 경우 **재활용이 가능합니다.**
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는 재활용 불가:
✘ 코팅된 종이 (광택지, 팝업엽서 등)
✘ 접착제 붙은 종이 (라벨지, 메모지)
✘ 음식물이나 기름이 묻은 종이 (피자박스 등)
📌 종이류는 반드시 **묶어서 배출**, 테이프나 비닐창은 제거하는 것이 기본입니다.
종이컵, 종이팩, 일반 종이 구분 요약표
종류 | 재질 특징 | 재활용 여부 | 배출 요령 |
---|---|---|---|
종이컵 | PE코팅된 복합재질 | 조건부 가능 | 깨끗이 씻고 말려 종이류 배출 |
종이팩 | 알루미늄·PE코팅 종이 | 가능 | 우유팩 전용 수거함 또는 화장지 교환 |
일반 종이 | 단일 섬유질 종이 | 가능 | 테이프 제거 후 묶어서 배출 |
맺음말: 종이도 알고 버리면 더 깨끗하게 재활용됩니다
같은 ‘종이처럼 보이는 것’이라도 재질이나 가공 방식에 따라 **재활용 여부가 완전히 달라집니다.**
특히 종이컵과 종이팩은 다소 번거롭더라도 헹구고 말리는 기본 과정만 잘 지켜도 소중한 자원으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.
분리배출은 분류부터 정확하게! 오늘부터라도 종이 종류를 구분하는 습관을 시작해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