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2025년은 전체 공휴일이 총 67일로, 주말 포함 시 연휴를 전략적으로 잘 활용하면 상반기와 하반기 모두 여유 있는 일정 구성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2025년 5월 6일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됨에 따라 2025년 공휴일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.

    (어린이날, 부처님오신날 겹침)

     

    특히 대체공휴일 제도가 본격 적용되며, **가정의 달 5월과 추석 시즌에 장기 연휴**가 기대됩니다. 

     

    이번 글에서는 2025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**공식 공휴일, 대체공휴일, 꿀연차 활용일**을 월별 캘린더 형식으로 정리해드립니다.

    📅 2025년 공휴일 캘린더 월별 정리

     

    1월
    - 1월 1일 (수) : 신정 - 1월 27일 ~ 29일 (월~수) : 설날 연휴 - ※ 1월 26일(일) 포함 시 최대 4일 연휴

    3월
    - 3월 1일 (토) : 삼일절

    4월
    - 공휴일 없음

    5월
    - 5월 5일 (월) : 어린이날 + 부처님오신날 겹침 - 5월 6일 (화) : 대체공휴일 - 5월 15일 (목) : 석가탄신일 (※ 겹치지 않은 해 기준, 2025년은 5.5에 겹침)

    6월
    - 6월 6일 (금) : 현충일 ※ 징검다리 연휴 가능

    7월
    - 공휴일 없음

    8월
    - 8월 15일 (금) : 광복절 ※ 주말 붙여 휴가 가능

    9월
    - 9월 4일 ~ 6일 (목~토) : 추석 연휴 - 9월 7일 (일) : 대체공휴일 - ※ 최대 4일 황금연휴

    10월
    - 10월 3일 (금) : 개천절 - 10월 9일 (목) : 한글날 ※ 연차 1일만 붙여 4~6일 연휴 가능

    12월
    - 12월 25일 (목) : 성탄절

     

    📌 2025년 총 공휴일 수

    2025년의 공식 공휴일 수는 15일이며, 대체공휴일을 포함할 경우 최대 17일까지 쉬는 날 확보가 가능합니다.

     



    법정 공휴일: 신정, 설날, 삼일절, 어린이날, 현충일, 광복절, 추석, 개천절, 한글날, 성탄절
    대체공휴일 적용: 어린이날+부처님오신날(5월 6일), 추석 연휴(9월 7일)

     

    💡 연차 붙이기 좋은 날은?

     

    ✔ 1월 30일(목) → 설날 다음날 연차로 4박 5일 구성 ✔ 6월 7일(토) 이후 주말 → 3일 이상 가족 여행 ✔ 10월 4일(토) + 10월 7일(화) → 개천절·한글날 사이 연차 붙이기 ✔ 12월 26일(금) → 크리스마스 다음날 연차

     

    맺음말: 휴일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자

     

    2025년은 대체공휴일의 효과로 더 많은 휴식을 누릴 수 있는 해입니다.

    특히 설날, 추석, 어린이날 시즌에는 가족 단위 이동이 늘어나므로 미리 일정 계획을 세우고 연차와 공휴일을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면 보다 여유 있고 효율적인 한 해를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.

    미리 체크해두고, 일상과 쉼의 균형을 잘 설계해보세요!